kubectl 명령어 종류
kubctl —help 명령어로 확인가능한 cli 명령어들을 사용할수있다. 여기서는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에대해 나열한다.
kubectl [command] [TYPE] [NAME] [flags]
apply : 원하는 상태를 적용하려 할때 사용한다. 보통 -f 옵션으로 파일과 할께 사용한다.
get : 리소스 리스트 조회
describe : 리소스 상태를 상세 조회하여 보여준다.
delete : 리소스 삭제
logs : 컨테이너의 로그를 볼수있다.
exec : 컨테이너에 명령어를 전달할때 사용 (컨테이너 접근시 이용한다.)
config : kubectl 설정을 관리한다.
버전정보 확인
kubectl version —short
사용가능한 오브젝트 리스트
kubectl api-resources
목록확인 (pod, deployment, service, namespace …..등등)
kubectl get {확인하려는 타입}
kubectl get pod
: 파드 목록kubectl get deployment
: deployment 목록kubectl get service
: 서비스 목록kubectl get namespace
: 네임스페이스 목록보기
삭제
kubectl delete pod $[pod_name]
kubectl delete deployment $[deployment_name]
kubectl delete service $[service name]
특정 네임스페이스에 접근해서 확인할때 예제
kubectl get service -n <namespace name>
# argocd 네임스페이스안에 있는 서비스 목록을 볼수있다.
# 네임스페이스를 변경하여 특정 네임스페이스의 서비스목록<pod, deployment>을 확인 할 수있다
mezzo-skan@mezzoui-MacBookPro ~ % kubectl get service -n argocd
NAME TYPE CLUSTER-IP EXTERNAL-IP PORT(S) AGE
argocd-applicationset-controller ClusterIP 10.104.234.198 <none> 7000/TCP,8080/TCP 15d
argocd-dex-server ClusterIP 10.106.150.106 <none> 5556/TCP,5557/TCP,5558/TCP 15d
argocd-metrics ClusterIP 10.109.110.47 <none> 8082/TCP 15d
argocd-notifications-controller-metrics ClusterIP 10.110.137.140 <none> 9001/TCP 15d
argocd-redis ClusterIP 10.97.26.116 <none> 6379/TCP 15d
argocd-repo-server ClusterIP 10.106.114.159 <none> 8081/TCP,8084/TCP 15d
argocd-server NodePort 10.101.125.129 <none> 80:32238/TCP,443:32619/TCP 15d
argocd-server-metrics ClusterIP 10.102.113.18 <none> 8083/TCP 15d
mezzo-skan@mezzoui-MacBookPro ~ % kubectl describe svc argocd-server -n argocd
상세정보 보기
kubectl get ${kind_type} - o wide
으로 상세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.
- wide
- josn : json 형태로
- text : 텍스트 형태로
kubectl get pods -o wide
상세 서비스 정보 보기
- describe : 상세보기
- svc : service 의 약어
kubectl describe svc <service name> -n <namespace>
kubectl describe svc argocd-server -n argocd
노드 자원 보호하기
cordon, uncordon
을 사용하여 노드를 관리 한다.
kubectl uncordon ${node_name}
kubectl cordon ${node_name}
노드를 관리하는 명령어로 노드에 문제가 생겼을대 노드에 파드가 생성되지 못하게 차단하거나 차단을 해제할때 사용한다.
참고
'devops > Kubernete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ubernetes namespage (0) | 2024.04.25 |
---|---|
kubernetes service (nodeport) 에대한 설명 (1) | 2024.04.25 |
kubernetes minikube install (0) | 2024.04.25 |
kubernetes dashboard (1) | 2024.04.25 |
Argo CD 설치하기, Argo CD 란? (0) | 2023.04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