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9/03/31 - [MessageQueue/RabbitMQ] - Rabbit MQ
2019/03/31 - [MessageQueue/RabbitMQ] - RabbitMQ 설치 (Centos 6/7)
2021/01/19 - [MessageQueue/RabbitMQ] - Rabbit MQ 사용자 추가 명령어
2021/01/19 - [MessageQueue/RabbitMQ] - Rabbit MQ WebConsole
Rabbit MQ 설치후 WebConsole 을 활성화 해준다.
sudo rabbitmq-plugins enable rabbitmq_management
활성화된 Port는 15672 임으로 외부에서 접속시 포트를 개방해 준다.
Web Console 접속
https://serverip:15672
기본 아이디 패스워드는 -> id/pw admin / admin
Connections : 접속되어 있는 Application 정보 (Message Broker에 접속한 갯수 )
Channel : Connection 내에 존재하는 가상 커넥션, Application 에서 다중 접속을 요구하는 경우 여러개가 생성될수 있다.
Exchanges:
Queue:
Consumers :
Nodes : Cluster 구조로 여러서버를 붙일수 있으며, Nodes 에 서버의 상태 및 정보 확인
File Descriptors : 프로세스에 의해 오픈한 File Descriptor 갯수이다. 최대 활용가능한 갯수도 나오며, 비율로 90% 넘을시 문제가 생길수 있으므로 모니터링 필요하다. 운영체제의 최대 파일 오픈 개수에 영향을 받는다.
Socket Descriptor 프로세스에 의해 오픈한 Socket Descriptor 개수, 최대 활용가능한 갯수도 나오며, 비율로 90% 넘을시 문제가 생길수 있으므로 모니터링 필요
Erlang Processes
Memory : RabbitMQ에서 사용하고 있는 메모리양
'MessageQueue > RabbitMQ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abbit MQ 사용자 추가 명령어 (0) | 2021.01.19 |
---|---|
RabbitMQ 설치 (Centos 6/7) (0) | 2019.03.31 |
Rabbit MQ (0) | 2019.03.31 |